1. 원고 작성법 1) 한글HWP 또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e-mail(2017dmtsk@gmail.com)으로 발송한다. 2)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로 표시하거나 ( )속에 원어를 써 넣는다. 3) 논문 제목 및 제출자의 성명은 한글과 영문으로 표시하고,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쓴다. 4) 영문초록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⑴ 영문초록은 1쪽 이내로 한다. ⑵ 저자의 소속도 영문으로 표기한다. ⑶ 초록의 마지막에 Key Word를 제시한다. ⑷ 연구 초록의 본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한다. : 연구 목적 또는 문제, 연구 대상자, 연구 방법, 측정도구, 분석방법, 연구 결론 5) 용지종류: 사용자정의(187.0×261.0mm) 6) 여백주기: 좌(28mm), 우(28mm), 위(20mm), 아래(15mm), 머리(15mm), 꼬리(15mm), 제본(0mm) 7) 내용편집(한글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 기준) ⑴ 문서전체: 문단모양 - 줄간격(160), 문단위(0) ⑵ 제목: 글자모양 - 크기(16), 글꼴(신명조), 장평(80), 자간(0), 진하게 문단모양 - 정렬방식(가운데), 들여쓰기(0) ⑶ 저자: 1줄 띄고, 글자사이 띄어쓰기 각 2칸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신명조), 장평(95), 자간(5) 문단모양 - 정렬방식(오른쪽), 들여쓰기(0) ⑷ 본문: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신명조) 문단모양 - 들여쓰기(10) ⑸ 참고문헌 제목: 글자모양 - 크기(14), 글꼴(중고딕), 진하게 문단모양 - 정렬방식(가운데), 들여쓰기(0) ⑹ 참고문헌 내용: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신명조) 문단모양 - 정렬방식(혼합), 내어쓰기(30), 왼쪽여백(0) ⑺ 영문초록 제목: 글자모양 - 크기(14), 글꼴(중고딕), 장평(80), 자간(0), 진하게 문단모양 - 정렬방식(가운데), 들여쓰기(0) ⑻ 영문초록 저자: 글자모양 - 크기(11), 글꼴(그래픽), 장평(95), 자간(5) 문단모양 - 정렬방식(오른쪽), 들여쓰기(0) ⑼ 영문초록 내용: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신명조) 문단모양 - 들여쓰기(10) ⑽ 저자소개각주(한글 및 영문): 글자모양 - 크기(9), 글꼴(신명조) 문단모양-정렬방식(혼합), 들여쓰기(0) ⑾ 머리말 짝수: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제○권 제○호, 년도)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 (신명조), 장평(90) 문단모양 - 정렬방식(가운데) ⑿ 머리말 홀수: 제목(저자명)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신명조), 장평(90) 문단모양 - 정렬방식(가운데) ⒀ 쪽번호달기 - 쪽번호위치(5), 쪽번호 종류(3), 예) -1- 위에서 언급하지 않은 정의 내용은 사용 프로그램의 기본값으로 정한다. 2. 번호붙임 1단계.. Ⅰ. ; 글자모양 - 크기(14), 글꼴(중고딕), 진하게 문단모양 - 두줄 띄고, 정렬방식(가운데) 2단계.. 1. ; 글자모양 - 크기(12), 글꼴(중고딕), 진하게 문단모양 - 한줄 띄고, 정렬방식(혼합) 3단계.. 1) ;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신명조), 진하게 문단모양 - 정렬방식(혼합) 4단계.. ⑴ ;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중고딕) 문단모양 - 정렬방식(혼합) 5단계.. ① ; 글자모양 - 크기(10), 글꼴(신명조) 문단모양 - 정렬방식(혼합) 3. 인용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부분의 아래 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비우고 좌ㆍ우로 각각 3글자씩 들여 쓴다. 4. 각주와 호주 1) 脚註(fotnote)를 사용하고 그 대신 後註(endnote)는 금한다. 2) 각주는 본문에 표기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사용하고, 단순히 자료의 출처나 참고문헌을 밝히는 각주의 사용은 금한다. 3) 각주를 표시하는 위치는 해당 문장이나 용어 말미의 위편에 일련번호를 표시하고, 각주의 내용은 논문 해당 페이지에 제시한다. 5. 본문내의 인용문헌 1)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연도 또는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기한다. 예 : 이 문제에 관하여 홍길동(1993)은...홍길동(1993:25)은...(1993년도 문헌의 페이지 25) 2)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부분 말미에 괄호를 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으로 가른다. 예 : 한 연구(홍길동, 1992)에 의하면..., 최근의 연구(홍길동, 1992; Anderson, 1990)에 의하면... 3) 저자가 다수일 경우 3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되, 4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다음은 국문의 경우 '○○○ 등', 영문의 경우도 '○○○등'으로 나타낸다. 예 : 홍길동 등(1992), Wittrock 등(1996), (Wittrock et al., 1996) 6. 표와 그림 1) 표, 그림, 부록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본문 안에서도 < >, [ ]과 같은 괄호를 사용한다. 예 : <표 1>, [그림 1], <부록> 2) 표 제목: 크기(9), 글꼴(중고딕), 좌측상단 3) 표 내용: 크기(8), 글꼴(신명조) 4) 그림 제목: 크기(9), 글꼴(중고딕), 중앙하단 5) 표와 그림은 원본 그대로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그려서 제출한다. 6) 표와 그림은 가능한 간결하게 만들며 모든 선은 단선으로 한다. 단, 표의 맨 위와 아래 가로선은 두 줄로 하고, 표 구분 아래 가로선은 진한 선(0.5mm)로 한다. 7) 표의 세로선은 긋지 않는다. 7. 참고문헌 작성 1) 논문의 말미에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韓·中·日·西洋書순으로 열거한다. 여기에 예시한 이외의 서양 참고문헌 작성법은 대체로 APA양식을 따른다. 2) 국문 참고문헌 작성 시 유의사항 단행본(책명), 정기간행물(간행물명), 학위논문(논문제목)은 중고딕으로 한다. 3) 영문 참고문헌 작성 시 유의사항 ⑴ 단행본(책명), 정기간행물(간행물명), 학위논문(논문제목)은 이탤릭체로 한다. ⑵ 논문 제목은 첫 단어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쓸 것(단행 본의 경우도 동일). 단, 정기간행물의 책명은 각 단어를 대문자로 표기할 것. 예시) 【단행본】 류분순(2023). 몸 정서 심리치료. 서울: 하나의학사. Judith, J. A. (2001). Approaches to art therapy: Theory and technique (2nd ed.). New York: Brunner-Routledge. 예시) 【정기간행물】 윤정아(2023).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감정조절과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DMT.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7(2), 5-32. Shaw, S. F., Cullen, J. P., McGuire, J. M., & Brinckerhoff, L. C. (1995). Operationalizing a defini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8 (9), 586-597. 예시) 【학위논문】 김두리(2018). 무용동작심리치료를 통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Wilfley, D. E. (1989). Interpersonal analyses of bulimia: Normal-weight and obe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예시) 【편집된 서적】 강진령, 손현동 (편.)(2000). 학교상담 핸드북 . 충북 : 한국교원대학교출판부. Gibbs, J. T., & Huang, L. N. (1991). Children of col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with minority youth. San Francisco: Jossey-Bass. 예시) 【편집된 서적 내의 논문ㆍ장의 참고문헌】 최석준(2000). 가족치료 성과 연구방법. 김호영ㆍ심영권 (편.), 가족치료 핸드북 (pp358-411). 서울: 상담과학사. Putallaz, M., & Hefin, A. H. (1990). Parental-child interaction.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pp. 44-55).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예시) 【번역서】 류분순, 신금옥, 김향숙, 박혜주, 이예승 (역.)(2014). 무용동작치료의 예술과 과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Egan, G. (1999). 유능한 상담자 (제석봉 등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4 출판) 예시) 【연수회, 특강, 또는 학술대회 자료】 조용태(2006). 심리치료 사정의 중요성. 2006년도 제2회 예술심리치료연수회 자료집 (pp84-95).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8. 저자의 구분 1) 저자의 나열순서는 주저자, 공저자 순으로 한다. 2) 학위논문인 경우에는 논문작성자, 지도교수 순으로 이름을 게재한다. 3) 주저자는 교신저자로 표시한다. 4) 교신저자의 연락처는 전자우편 주소로 표시한다. 9. 연구의 기초사항 논문이 발표된 학술 대회명, 장소, 날짜, 학위논문 여부는 투고 원고 각주에 기재한다. 10. 저자의 표기 1) 원고의 표지에는 논문제목, 저자, 요약, 국문초록, 국문소속(소속 학교 및 학과명)과 직위, 영문초록, 영문소속(소속학과 및 학과명)과 직위, 대표저자의 연락처 및 주소, E-mail을 표기 하여야 한다. 2) 표지를 제외한 모든 페이지는 1부터 연속적 숫자가 부여되도록 한다.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에 국문과 영문으로 00학교/학생/학년을 표시해야 한다[개정 2021. 01. 01]. <출처: 교육부[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개정 후속조치 참고하여 만듦> 부 칙 1. (시행일) 이 규정은 2017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2. (시행일) 이 규정은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3. (시행일) 이 규정은 2021년 6월 1일부터 시행한다. 4. (시행일) 이 규정은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
---|